뉴질랜드 라이프 168

[뉴질랜드 생활] 습기방지 꼭 하세요, 두 번 하세요

안녕하세요? 뉴질랜드 외국인입니다. 최근에 뉴질랜드 집 구매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었는데요 (벌써 한달 전...) 오늘은 뉴질랜드 집과 관련 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. 뉴질랜드에서 집 사기 (feat.미친집값) - 글 보려면 여기를 클릭 필자는 플랫을 하거나 렌트로 생활을 오래 했던지라 집에 대한 관리를 전혀 모르다가 최근 1~2년 사이 집을 구매하고 살다보니 느끼게 된 것이 한가지가 있는데요. 그것은 바로.. 습. 기 뉴질랜드는 섬 이라 그런지 비가 꽤 많이 오는 편인데다가, 영하로 떨어지지 않는 기온이라 (오클랜드, 웰링턴 북섬 기준) 눈이 내리지 않고 비로 많이 내립니다. 여름은 덥고 금방 마르니 괜찮은데, 겨울은 비도 많이 오는데다가 춥고 마르지도 않아서 집 안 난방을 잘 안 틀면 금방 꿉꿉한..

[뉴질랜드 이민] 뉴질랜드에서 집 사기 (feat.미친집값)

안녕하세요? 오늘은 뉴질랜드 집 사기에 대해 이야기 해 볼까 합니다. 필자는 맨 처음 뉴질랜드에 도착했을 때 1달 홈스테이부터 시작해서 - 플랫 생활 - 그리고 집 렌트까지 다양한 집 종류를 겪어봤는데요. 뉴질랜드에서 플랫(Flat) 생활하기 - 글 보려면 여기를 클릭 뉴질랜드에서 집 렌트하기 - 글 보려면 링크를 클릭 드디어 집 까지 알아보게 되었네요! (감개무량해서 눈물 좀 닦고 ㅜㅜ) 뉴질랜드에서 집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1) 조건 충족부터 - 비자 상태 (Visa statement) 뉴질랜드에서 거주하고 있는 입장에서 집을 구매할 수 있는 자격은 워크비자(Work Visa)부터 가능합니다. 하지만 집 구매를 위해 은행에서 모기지를 빌릴 때 좀 더 까다롭기 때문에 우선 영구 영주권(Per..

[뉴질랜드 회사 생활] 뉴질랜드 회사의 직급은 어떨까

안녕하세요? 오랫만에 회사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. 한국에서는 회사 사람들을 부를 때 과장님, 차장님, 대리님 ~ 등 동기가 아닌 이상 이름 대신 직급을 부르는데요. 그만큼 회사의 위치가 이름 대신 말할 만큼 중요하다는 표시로 불리는 것 같습니다. 뉴질랜드의 직급도 마찬가지로 경력에 따라 나뉘지만, 직급을 부르지 않고 이름을 부르는 것이 가장 큰 차이라고 볼 수 있겠는데, 그것 말고도 다른 점이 있어 제 경험을 기준으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. 경력 레벨 (Level) 주니어 (Junior) - 학교를 막 졸업하고 취직한 사람 0년~3년 정도. 인터메디에이트 (Intermediate) - 회사를 한 두 곳 다녀 본 경력, 중간급 3~7년 경력이 있는 사람. 주니어 급 인재가 밑에 한 두명 정도 있을 수 있음 ..

[뉴질랜드 생활] 요트 아메리카 컵에 우승한 뉴질랜드 팀!

안녕하세요? 오늘은 스포츠 이야기를 할까 하는데요, 뉴질랜드라고 하면 바로 떠올리는 국민 스포츠는 바로 럭비(Rugby)인데요. 럭비에 대한 글을 보려면 - 2015년 럭비월드컵 우승한 올 블랙(All Blacks) - http://korean.jinhee.net/152 럭비 말고도 키위(Kiwi)들은 어렸을 때부터 스포츠를 많이 해서 그런지 럭비 말고도 많은 스포츠를 즐깁니다. 크리켓에 대한 글을 보려면 -크리켓(Cricket)을 즐기면 당신은 거의 키위 사람 - http://korean.jinhee.net/98 뉴질랜드는 섬이라서 그런지 특히 해상 스포츠가 많이 발달 되어 있는데, 번지점프를 처음 상업화 시킨 것도 키위이고 조정 경기 등 올림픽에서 큰 활약을 보였습니다. 뉴질랜드 전체 인구가 부산 인..

[뉴질랜드 이민] 뉴질랜드 페미니즘 또는 여성 우월주의?

필자가 뉴질랜드에 살다 보니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"뉴질랜드는 ~ 하다면서요?" 라는 질문을 받을 수 밖에 없는데, 그 중 특히 남성 분들이 "뉴질랜드는 남자들이 살기 별로 라면서요?" 라는 형식의 질문을 받는다. 아마도 인터넷에 떠도는 뉴질랜드에 대한 잘못 된 정보들이 떠돌고 있어서 그것들을 보고 정보를 취한 사람들이 혹시나 하고 물어 보는 것 같다. 그래서 오늘은 뉴질랜드의 페미니즘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싶다. 뉴질랜드의 페미니즘? 뉴질랜드가 왜 여성의 힘이 강한지에 대해 이유를 꼽자면 다들 여성의 투표 참정권에 대해 언급한다. 맞다, 뉴질랜드는 전 세계 최초로 여성이 투표를 할 수 있도록 제정한 나라다. 영국이 법적으로 1928년 18세 이후의 여성이 투표를 참여할 수 있었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3..

[뉴질랜드 이민] 한국에 살던 당시에 볼 수 없었던 것들

2014년 이후로 한국에 방문하지 못하다가 여행 겸, 치료 겸 겸사겸사 오랫만에 온 한국. 공백만큼 한국인으로서의 시선보다는 오히려 외국인의 시선으로 보는 것들이 이번에 눈에 많이 띄었다. 지인 말대로 "너는 한국인 성격 반 외국인 성격 반" 이라 아무래도 좀 더 외국인의 관점으로 보는 것이 아닌가 싶은데 몇 가지 소개를 하자면. 1. 지나친 스킨쉽, 기분 나쁠 정도로. 나이 많은 어른들이 생전 처음 보는 아이 이쁘다고 말을 걸면서 부모의 동의 없이 얼굴이나 머리를 만지는 광경을 보는데 필자는 으억 소리가 나올 뻔 할 정도였다. 특히 서울에도 외국인 가족들이 방문하는데 나이 지긋한 할아버지가 그 사람들에게 컴 온- 이러면서 생전 모르는 아이에게 손짓하고 잡으려고 할 모습이였다. 외국인 아빠가 괜찮다고 사..

[뉴질랜드 국제 연애] 국제 연애와 결혼

1. 얼마 전 페이스북과 모든 소셜 네크워크를 뜨겁게 달군 동영상 하나 -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인용에 대해 한국에 거주하는 교수와 BBC 앵커가 스카이프로 화상 인터뷰를 나누는 장면에 생긴 사고. 춤을 추며 들어오는 귀여운 딸과 그 뒤로 적절한 타이밍에 유모차??를 타고 들어오는 갓난 아이, 그리고 그들을 빼내기 위해 슬라~이딩으로 재빨리 방에 들어와 닌자처럼 낚아 채는 엄마! 이 동영상이 뜨자마자 삽시간에 전 세계를 장악했고 그들은 본의 아니게 반짝 글로벌 유명인사가 되었다. 이 동영상이 퍼져나가고 이 동영상을 접한 많은 사람들은 내니(아이를 돌봐주는 도우미)가 아이를 너무 거칠게 끌고 간다고 많은 비판을 했는데, 아시안이라 엄마가 아닌 내니라고 먼저 생각한다는 게 약간은 불편한 진실. 내가 봤을 때는..

[뉴질랜드 이민] 이 블로그의 주인에게 궁금한 것들

첫 뉴질랜드에 대한 글 작성을 한 것이 2년이 넘었다는 사실에 '시간이 참 빨리 흐르는구나' 라는 생각을 하면서 여기에 가끔 / 자주 / 한번 왔다 갔다 오시는 분들 중에 뭐하냐고 물어보시길래 몇 자 적어봅니다. 1. 무슨 일하면서 먹고 사시는지? 블로그에는 주로 IT라고 포괄적으로 이야기 합니다만, 좀 더 정확하게 이야기 하자면 백 그라운드는 그래픽 디자이너이긴 하나 지금 하고 있는 일은 미디어 관련 일입니다. 날씨 관련 된 미디어 일인데 주로 날씨에 대한 그래픽을 다룹니다. 그래서 꽤 많은 시간을 디자인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날씨 관련 데이터를 어떤 형식의 그래픽 비주얼로 만들지? 등의 고민을 하며 그에 대한 고객 서포트 일도 합니다. 고객 서포트는 이메일 / 전화 연결 및 리모트 방식이며 지금까지도 ..

[뉴질랜드 생활] 뉴질랜드 세금

안녕하세요?한국과 뉴질랜드 내는 세금율이 달라서 이번에 세금율 좀 볼 겸 알아보았습니다. 현재 뉴질랜드 세금 2015년~2016년 세금율 $14,000 10.5% $14,000 에서 $48,000까지 17.5% $48,000 에서 $70,000까지 30% $70,000 이상 33% 예를 들어 $80,000(NZD)를 번다는 가정 하에 내게 되는 텍스는 세금율 적용 금액 텍스비 남는 금액 10.5% 14,000불 1,470불 12,530불 17.5% 34,000불 5,950불 28,050불 30% 22,000불 6,600불 15,400불 33% 10,000불 3,300불 6,700불 총 80,000불 (텍스 전 금액) 17,320불 (텍스비) 62,680불 (텍스 후 금액) 현재 환율로 따져봤을 때 6천 ..

[뉴질랜드 이민] 최근에 바뀐 이민 개정법 살펴보기

작년 말, 많은 사람들이 바뀐 뉴질랜드 이민법이 이민을 포기할 정도로 문턱이 높다고 소문이 자자 할 정도였다. (심지어 독일에 있는 아는 분도 물어 볼 정도) 우연히 오늘 이민성 웹사이트에서 내용을 읽어보았는데 궁금해 할 사람이 많아서 번역을 조금 했다. 원문은 여기를 클릭 법 시행 실시 - 2016년 7월 1일부터 2018년. 작년 이민법은 9만~10만명을 받았다면 이번은 8만5천명에서 9만5천명으로 줄일 예정. 이민법 개정 중 가장 크게 바뀐 절차는 스킬 마이그란트 카테고리 (Skill Migrant Category) 와 부모 카테고리 (Parent Category)이며, 이민으로 오는 사람들 중 대부분이 스킬 마이그란트 카테고리(Skill Migrant Category)인데, 이 부분이 법 개정이 ..

반응형